생활과학

(1) 인간의 의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의식의 정의와 뇌과학적 탐구

오렌지어뤤지 2025. 4. 2. 01:09

우리는 매일 눈을 뜨고 생각하며 살아갑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것도, 배가 고프다고 느끼는 것도,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모두 의식(consciousness) 덕분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정말 의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을까요?

고대부터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같은 질문을 던져 왔습니다. 최근에는 뇌과학이 발전하면서 의식이 뇌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연구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의식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현대 뇌과학이 의식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의식이란 무엇일까요?

의식은 쉽게 말해 ‘내가 나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사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를 완벽하게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과학자들은 의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1) ‘각성(Arousal)’과 ‘인지(Awareness)’

  • ‘각성’은 우리가 깨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인지’는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 예를 들어, 깊은 잠을 잘 때는 의식이 거의 없는 상태지만, 꿈을 꾸고 있다면 어느 정도의 인지는 남아 있습니다.

2) ‘일차 의식(Primary Consciousness)’과 ‘고차 의식(Higher-order Consciousness)’

  • 일차 의식은 지금 눈앞에 있는 것을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 고차 의식은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과거를 떠올리고, 미래를 계획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 사람은 이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동물 중 일부는 일차 의식만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2. 뇌 속에서 의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의식이 뇌의 특정한 부위에서만 만들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의식이 여러 신경 네트워크의 협력 결과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 의식과 관련된 주요 뇌 영역

1) 대뇌피질(Cerebral Cortex)

  • 뇌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부분으로, 사고, 기억, 감각을 담당합니다.
  • 특히 전두엽(Frontal Lobe)은 자아 인식과 계획을 담당합니다.

2) 시상(Thalamus)

  • 감각 정보를 대뇌피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만약 시상이 손상되면 깊은 혼수 상태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3) 연합 신경망(Global Neuronal Workspace, GNW) 이론

  • 뇌 속에서 여러 영역이 동시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 의식이 발생한다는 이론입니다.
  • 이 이론에 따르면, 의식은 특정한 한 곳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뇌의 여러 부분이 협력하면서 생성되는 것입니다.

3. 의식 연구의 새로운 접근법

의식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뇌 손상 환자를 통한 연구

1) 식물인간 상태(Persistent Vegetative State, PVS) 연구

  • 어떤 사람들은 뇌 손상으로 인해 깨어 있지만,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 식물인간 상태에 있는 환자가 특정한 질문에 반응하는 듯한 뇌 활동을 보였습니다.
  • 이는 우리가 관찰할 수 없는 형태의 의식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인공지능과 의식 연구

1) 컴퓨터는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요?

  • 최근에는 AI(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 인간의 뇌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망이 의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우리는 의식이란 무엇이며, 뇌과학에서는 이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의식은 단순히 깨어 있는 것이 아니라, 뇌의 여러 부위가 협력하면서 만들어지는 복잡한 과정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아직 해결되지 않은 질문이 많습니다. 정말 모든 의식은 뇌에서만 나오는 걸까요? 혹은 의식이란 단순한 신경 활동 그 이상일 수도 있을까요?

다음 글에서는 의식이란 단순한 뇌의 작용일 뿐인지, 아니면 인간만이 가지는 특별한 무엇인지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논쟁을 다뤄보겠습니다.